2025.09.02 (화)

  • 구름많음속초 31.5℃
  • 구름많음동두천 29.3℃
  • 구름많음춘천 28.3℃
  • 맑음강릉 33.1℃
  • 맑음동해 31.3℃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많음인천 29.1℃
  • 구름조금청주 30.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구름조금전주 31.3℃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제주 31.5℃
  • 맑음서귀포 30.8℃
  • 구름많음양평 28.3℃
  • 구름많음이천 29.0℃
  • 구름조금제천 28.1℃
  • 구름조금천안 29.0℃
  • 맑음보령 29.9℃
  • 맑음부안 30.3℃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전시

부산비엔날레조직위원회, '2025바다미술제' 최종 참여작가 공개

참여작가 17개국 23작가/팀 (38명) 최종 참여작가 발표

다대포해수욕장 일원에서 9월 27일부터 11월 2일까지 37일간 개최

다양한 표현 방식으로 ‘언더커런츠(Undercurrents)’ 탐색

문화저널코리아 오형석 기자 | (사)부산비엔날레조직위원회(이하 ‘조직위’, 조직위원장 박형준 부산광역시장)가 9월 27일부터 11월 2일까지 37일간 부산 다대포해수욕장 일원에서 펼쳐지는 2025바다미술제 ≪Undercurrents: 물 위를 걷는 물결들≫의 모든 참여작가 명단을 공개했다.

 

이번 전시는 총 17개국 23작가/팀 (38명)의 국내외 작가가 참여하여 다대포해수욕장과 몰운대, 고우니 생태길, 다대소각장 등 장소 특정적 작품들과 퍼포먼스, 연계 프로그램 등을 선보인다.

 

2025바다미술제 ≪Undercurrents: 물 위를 걷는 물결들≫은 ‘언더커런츠(Undercurrents)’라는 개념을 바탕으로 수면 아래 보이지 않는 흐름과 생태적 리듬을 탐구한다. 산·강·바다가 만나는 다대포의 지형은 보이지 않는 힘들이 교차하는 생태적 실험장이자 공동체적 기억의 공간으로 펼쳐진다. 참여작가들은 조각, 설치, 영상, 퍼포먼스 등 다양한 장르를 통해 이러한 ‘보이지 않는 흐름’을 시각화하거나 체험으로 확장하며, 감각적 경험을 제안한다.

 

전시는 김금화와 베르나 피나(Bernard Vienat)가 공동 전시감독을 맡아 이끌고 있다. 초기 기획에 참여했던 김사라는 큐레토리얼 어드바이저로 참여한다. 공동 전시감독은 다대포의 장소성을 바탕으로 자연과 예술이 어우러지는 실험적이고 참여적인 전시를 기획한다.

 

지난 6월 1차 참여작가 발표에서 13작가/팀을 선공개한 데 이어, 이번 최종 발표를 통해 전체 23작가/팀의 작가 명단이 확정됐다. 이번에 공개된 작가는 지역의 다양한 커뮤니티와 협업 및 다양한 매체를 통해 전시의 스펙트럼을 넓히며 보이지 않는 흐름을 드러내는 새로운 해석을 다대포 현장에서 선보일 예정이다.

비론 에롤 베르트(Viron Erol Vert)는 튀르키예-그리스계 다매체 예술가로 몰운대 끝자락에 위치한 (구)몰운 커피숍에서 ‘구름에 잠긴 곳’이라는 뜻을 지닌 몰운대의 신화와 기억, 공동체적 흐름을 반영한 다감각적 장소 특정 설치 작품을 선보인다. 생물의 촉수를 연상시키는 곡선 형태의 직물은 몰운대의 지리적, 역사적, 신화적 맥락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며 전시 주제인 ‘언더커런츠(Undercurrents)’와도 깊은 접점을 형성한다.

 

회화, 영상, 글, 퍼포먼스를 넘나드는 초학제적 실천을 전개하는 예술가이자 연구자, 교육자인 안체 마에브스키(Antje Majewski)는 과학자와 지역 커뮤니티의 협업을 통하여 ‘상상력의 힘’을 탐구한다. 작가는 고생물학자 남기수 교수와 함께 부산 지역에 존재했을 가능성이 있는 해양 원시 생물과 화석을 선정하고 부산대학교 미술학과 학생들과 협업하여 그 모습을 상상한 50여 점의 드로잉을 선보인다.

 

부산, 경남에서 활동하는 네 명의 작가들과 한 명의 나무의사로 구성된 컬렉티브 그룹 오미자는 지속가능한 삶과 자연적 순환을 통해 이 지구에서 연결되어 굴러가는 사실을 놀이를 통해 보여준다. 낙동강 물길을 따라 채집한 자연 재료로 만들어진 거대한 공 ‘다대포롤’을 함께 굴리는 체험을 직접 할 수 있고, 관련 대회도 개최될 예정이다.

 

베를린, 부산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이진 작가는 아트 테크니션으로 컴퓨팅 시스템과 전자 회로를 활용한 디지털 인터랙티브 환경을 구축한다. 작가는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연구진과 협력을 통해 과거 16세기부터의 오늘날까지의 다대포 조수 데이터를 수집하여 해안선의 시간적 변화를 새롭게 재구성한다. 기후, 기억, 변화가 얽히고 시간이 흐르는 풍경을 담은 이 작품은 부산교통공사와의 협업으로 다대포해수욕장역 역사 내에 설치되어 관람객을 맞이할 예정이다.

 

아르헨티나 기반으로 활동하는 작가 파울라 프로아뇨 메시아스(Paula Proaño Mesías)는 ‘놀이’를 통해 인간과 인간 너머의 존재 간의 유대감을 탐구한다. 관람객은 다대포에 서식하는 생물에서 영감을 받은 조각 작품을 장난감처럼 자유롭게 다루며, 그 생명체와 연대감을 느끼게 한다.

 

마티아스 케슬러 & 아멧 치벨렉(Mathias Kessler and Ahmet Civelek)은 폐기물의 지정학적 맥락과 산업 재료가 버려진 이후의 서사를 탐구한다. 이번 공동 작업도 폐기물에 미적이면서 정치적인 가치를 부여하는데, 다대포해수욕장을 중심으로 부산 전역에서 수거한 폐포장재지와 쓰레기를 재료로 삼아 직조한 10m 이상 대형 작품을 다대포 해변에서 선보일 예정이다.

 

한편, 2025바다미술제 출품되는 작품은 오는 9월 8일부터 본격 설치에 들어가고, 9월 26일 공식 개막식을 거쳐, 9월 27일 일반에게 공개된다. 자세한 사항은 2025바다미술제 공식 홈페이지(https://www.saf2025.org/)에서 확인할 수 있다.


CJK 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