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1.16 (목)

  • 구름많음속초 3.7℃
  • 구름많음동두천 -0.4℃
  • 흐림춘천 -4.0℃
  • 구름조금강릉 4.5℃
  • 구름조금동해 5.4℃
  • 흐림서울 1.4℃
  • 흐림인천 1.3℃
  • 구름많음청주 3.9℃
  • 구름많음대전 4.9℃
  • 구름조금대구 4.0℃
  • 구름많음전주 4.2℃
  • 맑음울산 4.2℃
  • 구름많음광주 4.7℃
  • 맑음부산 5.4℃
  • 흐림제주 6.7℃
  • 맑음서귀포 9.6℃
  • 흐림양평 -2.5℃
  • 흐림이천 -2.2℃
  • 흐림제천 -3.3℃
  • 구름많음천안 2.0℃
  • 구름많음보령 6.2℃
  • 구름많음부안 5.6℃
  • 구름조금강진군 6.8℃
  • 구름많음경주시 3.5℃
  • 맑음거제 4.6℃
기상청 제공

공연/축제

빈-베를린 체임버 오케스트라 내한공연

빈 필하모닉과 베를린 필하모닉의 만남
예술감독 라이너 호넥, 모차르트 바이올린 협주곡 4번 협연

문화저널코리아 오형석 기자 | 빈-베를린 체임버 오케스트라(Kammerorchester Wien-Berlin)가 2025년 2월 4일 오후 7시 30분, 서울 예술의전당에서 내한공연을 진행한다. 2023년 이후 두 번째 방문이다.

 

빈-베를린 체임버 오케스트라(Vienna-Berlin Chamber Orchestra)는 2008년 창단 이래 클래식 음악계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앙상블로, 빈 필하모닉과 베를린 필하모닉이라는 세계적인 오케스트라의 수석 단원들이 앙상블의 주 멤버다. 사실 이 단체는 지휘자 사이먼 래틀(Simon Rattle)의 50세 생일을 기념하기 위해 기획된 프로젝트에서 시작되었다. 2005년 빈 콘체르트하우스에서 빈 필과 베를린 필의 합동공연이 그 계기가 되었다. 첫 만남에서부터 두 오케스트라 단원들 간의 강렬한 음악적 교감이 이루어졌고, 이후 지속적인 협업으로 이어지며 ‘빈-베를린 체임버 오케스트라‘라는 형태로 발전하게 되었다.

가장 큰 특징은 이 오케스트라가 가진 사운드다. 두 오케스트라가 가진 공통적인 특징을 극대화시키고, 동시에 빈 필하모닉 특유의 전통적인 소리와 베를린 필하모닉의 모던한 소리를 조화롭게 융합시켰다. 이를 통해 또다른 소리로 나아가는데, 이게 빈-베를린 체임버 오케스트라의 사운드다. 두 오케스트라의 음악적 전통과 강점을 결합하여 최고의 앙상블을 제련해냈으며, 단순한 오케스트라 간의 물리적 결합을 넘어 최상의 음악적 잠재력을 실현하며 화학적 결합을 이뤄냈다.

 

이 중심에 있는 예술가가 라이너 호넥이다. 빈 필하모닉의 악장이자, 30년 이상 빈 필하모닉 오케스트라를 이끌어온 라이너 호넥이 빈-베를린 체임버 오케스트라의 예술감독을 맡아 음악적 비전을 제시하고 있다. 최근 라이너 호넥이 가장 애정하고 공들이는 단체도 바로 빈-베를린 체임버 오케스트라다.

 

이처럼 라이너 호넥은 빈 필하모닉의 악장뿐만 아니라, 실내악, 독주 등 다양한 활동들을 이어가고 있는데, 특히 이번 공연에서도 빈-베를린 체임버 오케스트라와 함께 모차르트 바이올린 협주곡 4번을 직접 협연한다. 오랫동안 이어져 온 특유의 독보적인 빈 사운드를 선보일 예정이다. 최근엔 지휘 활동도 더욱 넓혀가고 있다. 2017년부터 2022년까지 기오이 홀 체임버 오케스트라(전 기오이 신포니에타)의 수석 지휘자를 지냈고, 지금도 명예 지휘자로 계속해서 교류하고 있다.

빈-베를린 체임버 오케스트라의 연주 레퍼토리들도 특별하다. 이 오케스트라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대규모 오케스트라가 할 수 없는 것들을 해낸다는 것이다. 특히 빈 고전주의 시대 음악에 집중하고 있는데, 완벽한 균형을 지키면서도, 군더더기 없는 소리를 내며 빈 고전주의 시대 작품들의 매력을 전한다. 오랜 시간이 지난 음악이지만, 마치 눈앞에서 생생하게 ‘살아있는 연주’로 들리게 하는 것이 그 목표다.

 

이번 내한공연에서 준비한 멘델스존 현악 교향곡 10번, 하이든 교향곡 59번 그리고 모차르트의 바이올린 협주곡 4번과 교향곡 29번이 딱 빈-베를린 체임보 오케스트라가 가장 잘할 수 있는 레퍼토리다. 오케스트라 곡을 실내악 스타일로 연주하려면 단원 개개인이 상당한 집중력과 노력을 해야하는데, 이 앙상블의 멤버들은 최고 수준의 기량을 발휘해 음악을 완성한다.

 

또 이 앙상블은 잘 연주되지 않은 숨겨진 명작들을 발굴하는데 주력한다. 이번 내한공연에서 연주하는 멘델스존의 현악 교향곡 10번, 하이든 교향곡 59번 ’불(화재)‘이 대표적이다. 마찬가지로 작년 내한공연 당시 하이든 교향곡 49번 ’수난‘을 연주했다. 뛰어난 기량과 완벽한 해석으로 이 작품이 가진 매력을 보여주었고, 빈-베를린 체임버 오케스트라야말로 하이든 초기 교향곡을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최적의 앙상블이라는 것을 증명했다. 이들이 이번 공연에서도 여전히 빈 고전주의 레퍼토리들을 고수하는 이유기도 하다.

 

이번 한국 투어는 2월 3일 제주문예회관을 시작으로, 서울 예술의전당(4일), 울산현대예술관(5일), 대구콘서트하우스(6일), 구미문화예술회관(7일), 전주한국소리문화의전당(8일), 경주예술의전당(9일)로 이어진다.

■ 빈-베를린 체임버 오케스트라 예술감독 라이너 호넥 일문일답 인터뷰

 

Q. 빈-베를린 체임버 오케스트라의 예술감독으로는 작년에 처음으로 한국에 왔다. 이미 수많은 오케스트라를 지휘해왔는데, 언제 처음으로 지휘자의 역할을 시작했고, 지휘를 하면서 새롭게 얻게 된 음악적인 관점이 있는지 궁금하다.

 

A. 제 첫 번째 지휘 경험은 작곡가 요한 슈트라우스의 음악을 바이올린 연주와 지휘를 병행하는 ‘스탠딩 바이올리니스트(Stehgeiger)’ 방식으로 지휘한 경험이다. 그 이후로 조금씩 다른 작품들도 지휘를 하며 연주와 병행하기 시작했다. 사실 수많은 지휘자들을 만나, 수많은 오페라와 콘서트 경험을 했기 때문에 바이올린 파트는 아주 잘 알고 있다. 그런데 지휘자의 관점으로 음악을 바라보는 것은 다르다. 음악 전체를 바라보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지휘자용 악보를 보게 되면 작곡가의 의도가 보다 명확하게 보이고, 음악에 대해 훨씬 깊게 알게 된다. 그래서 지금도 어린 음악가들을 만나면 지휘자용 악보를 꼭 보라고 이야기 한다.

 

Q. 빈-베를린 체임버 오케스트라에서의 역할도 그렇듯이, 당신은 지휘자, 악장, 솔리스트 등 수많은 역할을 동시에 맡고 있다. 이같은 활동을 통한 당신의 음악적 목표를 알고 싶다

 

A. 이미 빈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와 43년 동안 수많은 레퍼토리들을 수많은 해석으로 다뤄왔다. 덕분에 지금은 아주 수월하게 그 작품들을 연주할 수 있고, 상대적으로 리사이틀이나, 협주곡 같은 다른 활동에도 시간을 쏟을 수 있게 되었다. 다양한 역할로 음악활동을 할 수 있다는 자체가 기쁘다. 물론 나는 큰 규모의 작품을 지휘하는 지휘자가 되는걸 지향하진 않는다. 그렇지만 오케스트라에서의 악장 역할 이외에도 리사이틀이라든지 다른 활동들도 꾸준히 하려고 노력한다. 그게 또 내 오케스트라 악장 활동에도 선순환을 일으키며 큰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

Q. 빈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악장으로 한국에서도 정말 많이 알려져 있다. 오케스트라를 이끄는데 악장으로서는 어떤 역할을 하는 것인지 궁금하다.

 

A. 오케스트라 안에서 기술적으로 해야할 여러 역할들이 있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빈 필하모닉 오케스트라만이 가지고 있는 고유의 전통과 색깔을 다음 세대에 넘겨주는게 가장 중요한 역할이라고 생각한다. 특히 악장에겐 대표로 이 의무가 지어진다. 그리고 빈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엔 상임지휘자가 없기 때문에, 악장이 특히나 오케스트라 전체를 이끌어야 하는 역할도 추가로 부여된다.

 

Q. 좋은 오케스트라 악장의 자질이라는 것이 있는지?

 

A. 40년이 넘는 시간 동안 받아온 질문이다. 이상적인 악장은 모든 것을 잘하는 초인이어야 한다.

빈-베를린 체임버 오케스트라는 2008년 창단 이래 전례 없는 성공 가도를 달리며 클래식 음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세계 최고의 오케스트라로 불리는 두 오케스트라인 빈 필하모닉과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주요 단원들로 구성된 빈-베를린 체임버 오케스트라는 앙상블만이 가진 특유의 민첩함과 유연함을 바탕으로 두 오케스트라의 장점만을 결합했다.

 

살아있는 전설인 지휘자 사이먼 래틀이 그의 50번째 생일을 기념하기 위하여 성사한 두 오케스트라의 만남은 첫 호흡 이후 서로에게 강렬한 음악적 영감을 남기며 다음, 또 그다음 음악적 교류로 자연스럽게 이어졌으며, 해를 거듭할수록 관객과 음악 전문가들의 더욱 뜨거운 사랑을 받고 있다. 빈 필하모닉과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악장, 솔리스트, 수석 단원으로 구성된 오케스트라는 30여 년간 악장으로서 빈 필하모닉을 이끌고 있는 라이너 호넥이 예술감독을 맡고 있다.

 

빈-베를린 체임버 오케스트라는 안네 소피 무터, 요나스 카우프만, 유자 왕, 토마스 크바스토프, 유리 바슈메트, 예핌 브론프만, 앙투안 타메스티, 데니스 마추예프, 루돌프 부흐빈더, 다니엘 뮐러 쇼트, 고티에 카푸숑 등 솔리스트와 함께 독보적인 음악적 해석을 선보이며 언론과 관객의 극찬을 받았으며, 창단 후 얼마 되지 않아 모스크바에서 암스테르담에 이르는 투어와 밀라노에서 헬싱키에 이르는 투어를 성공적으로 마치며 단숨에 클래식 음악계 중심으로 입지를 굳혔다. 이후 2019년에는 미국 무대에 데뷔했으며, 최근에는 안네 소피 무터와 함께 함부르크의 엘프 필하모니, 빈의 무지크페라인을 비롯하여 아테네, 마드리드, 베를린 등 25개 도시에서 공연하며 활발하게 활동해오고 있다.

 

● Rainer Honek 라이너 호넥

 

1961년에 태어난 그는 7살때부터 바이올린을 시작하였다. 빈 국립음대에서 에디트 베르트슁어(Edith Bertschinger)에게 사사했으며 그와 동시에 비엔나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멤버인 알프레드 스타(Alfred Staar)에게 레슨을 받았다. 1981년에는 비엔나 국립 오페라의 제1 바이올린 주자로 뽑혔으며, 이후 비엔나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단원으로 합류하였다. 1984년에는 비엔나 국립 오페라 오케스트라의 악장이 되었고 1992년부터는 비엔나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악장으로 승격하였다. 물론 두 오케스트라의 수장으로, 그의 대부분의 활동이 비엔나 오페라와 비엔나 필하모닉을 중심으로 돌아가지만, 유럽 뿐아니라 일본, 미국의 주요 무대에서 솔리스트로서 화려한 경력을 가지고 있다. 비엔나 필하모닉,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 피츠버그 심포니 오케스트라, 상트 페테르부르크 극장의 마린스키 오케스트라와 헤르베르트 블롬슈테트, 세묜 비치코프, 아담 피셔, 다니엘레 가티, 발레리 게르기예프, 다니엘 하딩, 만프레드 호넥, 마리스 얀손스, 리카르도 무티, 키릴 페트렌코, 마이클 틸슨 토마스 등 거장들과 협연하였다. 음반으로는, 오케스트라의 악장으로 솔로 파트를 연주한 곡들이 있으며, 이중에는 세이지 오자와(필립스)와 연주한 림스키 코르샤코프의 ‘세헤라자드’와 크리스티안 틸레만(도이치 그라모폰)과의 ’슈트라우스의 ‘영웅의 생애’ 등이 있다.

 

라이너 호넥은 비엔나 비루투오젠(Wiener Virtuosen)과 비엔나 스트링 솔로이스츠(Vienna String Soloists)의 창단 멤버이자 리더이다. 이러한 리더십의 경험으로 지휘까지 그의 음악적 영역은 확대 될 수 있었으며, 도쿄의 키오이 쳄버 오케스트라, 나고야 필하모닉, 요미우리 일본 심포니 오케스트라, 상트 페테르부르크 극장의 마린스키 오케스트라, 말뫼 심포니 오케스트라를 지휘하였다. 그는 오스트리아 국립은행에서 후원받은 1725년산 스트라디바리 «샤콘»으로 연주한다.

주할 줄도 알아야 하고, 실내악 연주자처럼 유연해야 하며, 단원들을 격려하고 동기부여 할 줄 알아야 한다. 심지어 단원들 간의 사이를 중재하고, 지휘자와 단원들 사이도 연결해야 하는 외교관 역할까지 해야 한다. 말 그대로 초인이어야 한다.


CJK 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