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때 그 시절’ 국악가요의 재발견국립국악관현악단 '국악가요'

  • 등록 2025.09.23 13:40:42
크게보기

10월 25일(토) 국립극장 하늘극장

문화저널코리아 조정일 기자 | 국립극장(극장장 박인건) 전속단체 국립국악관현악단(예술감독 겸 단장 채치성)은 오는 10월 25일(토) 국립극장 하늘극장에서 <국악가요>를 선보인다.

 

이번 무대는 1970~1980년대 대중의 마음을 사로잡았던 국악가요를 오늘의 감각으로 되살려, 국악의 대중화와 동시대적 확장을 동시에 모색하는 자리다.

 

국악가요는 1970년대 후반 등장해 1980년대에 특히 인기를 끌었던 장르로, 전통 장단과 가락에 대중가요의 감성을 결합한 민요풍 창작가요를 지칭한다. 누구나 쉽게 따라 부를 수 있는 멜로디와 한국적 정서를 담아낸 특유의 감성이 어우러져 큰 호응을 얻었다.

 

창작국악연주그룹 ‘슬기둥’을 비롯해 강호중, 주병선 등의 가수가 대학가요제 및 각종 방송 무대를 통해 인기를 끌었다. 음악시장의 급격한 변화 속에 대중의 기억 속에 잊혔으나, 오늘날 트로트와 성인가요에서도 특징과 명맥이 이어지고 있다.

 

<국악가요>는 국악가요에 반영된 시대상과 변화의 흐름을 국악관현악과 함께 본격적으로 재조명한다. 이와 더불어 잊힌 장르로 여겨졌던 국악가요의 문화적 의미와 확장 가능성도 새롭게 고찰한다. 지휘와 해설은 국립국악관현악단 예술감독 겸 단장 채치성이 맡는다.

 

채치성은 국악가요로 인기를 구가하던 창작국악연주그룹 ‘슬기둥’의 창단멤버이자 작곡가이다. 음악 교과서에 수록된 국악가요 ‘꽃분네야’의 작곡가로도 잘 알려져 있다. 이번 무대에서 그는 국악가요의 전성기를 거쳐온 당사자로서 국악가요의 역사와 특유의 매력을 풍성한 국악관현악 사운드로 풀어낸다.

 

프로그램은 1980년대 인기를 끌었던 국악가요의 대표곡과 신규 창작곡까지 총 12곡으로 구성됐다. 첫 곡은 국악관현악을 위한 ‘찬란함 속으로’로 문을 연다. 이 곡은 채치성이 작곡한 대표곡 ‘꽃분네야’를 국립국악관현악단 상주작곡가 손다혜가 국악관현악으로 새롭게 작‧편곡한 작품이다.

 

이어지는 무대는 김영동의 ‘어디로 갈거나’, 조광재의 ‘산도깨비’, 채치성의 ‘독도아리랑’과 ‘타버린 사랑’, 박범훈의 ‘배 띄워라’ 등 익숙한 국악가요 히트곡을 대규모 국악관현악 편성으로 선보인다. 이번 공연에서는 80년대 이후 창작된 ‘아버지의 노래’ ‘가시버시 사랑’도 만날 수 있다. 국악가요가 시대마다 어떻게 변주되고 확장되었는지 확인할 기회다.

 

협연자로는 국악가요 1세대 소리꾼 강호중을 비롯해 전명신‧주병선 등 반가운 국악가요 가수들이 무대에 오른다. 이와 더불어 국립창극단 단원 이광복·이소연과 민요 소리꾼 홍승희가 참여해 세대를 뛰어넘는 국악가요의 매력과 정서를 각자의 방식으로 표현한다.

 

<국악가요>는 단순히 과거의 향수를 회상하는 것에 머물지 않고, 국악관현악과 결합해 동시대 관객과 소통할 수 있는 동시대성을 확보하는 데 목적을 둔다. 국립국악관현악단은 이번 공연을 통해 전통과 현대를 잇는 교량으로써의 역할을 재확인함과 동시에, 국악의 대중적 저변을 확대하고 우리 음악이 가진 확장성과 미래 가능성을 관객과 함께 나누고자 한다. 예매·문의 국립극장 홈페이지(www.ntok.go.kr) 또는 전화(02-2280-4114)

조정일 news123@cjknews.com
< 저작권자 © 문화저널코리아.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일대로 461 SK허브 101동 309호 | TEL : 02-564-0034 | FAX : 02-557-8945 등록번호 : 서울아03363 | 등록일자 : 2014년10월10일 | 발행일자 : 2018년06월01일 발행인 : 조정일 | 편집인 : 김영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영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