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종현, 파주 '하종현 아트센터' 개관

  • 등록 2025.08.30 05:57:45
크게보기

문화저널코리아 오형석 기자 | 한국 모더니즘의 선구자 하종현의 예술세계를 총망라한 ‘하종현 아트센터’가 경기도 파주시 문발동에 개관한다. 이번 개관을 통해 하종현 아트센터는 미술 안팎의 역사를 작업으로 승화시키며 한국 현대미술의 흐름을 만들어온 작가의 행보에 경의를 표하며, 1960년대부터 실천해온 예술 철학과 실험 정신을 담은 작품들을 전관에 걸쳐 선보인다. 이에 아트센터는 격변의 시대를 반영하는 하종현 작가의 작품이 동시대와 조우하고 더욱 심도 깊은 논의와 활발한 소통을 야기하는 생생한 장(場)으로 기능할 예정이다.

하종현 작가는 지난 반세기에 걸쳐 ‘회화란 무엇인가’라는 화두 아래 지속적인 물성 탐구와 실험에 매진하며 새로운 추상회화의 장을 개척해왔다. 1960년대 한국미술의 주 경향이었던 앵포르멜부터 1969년부터 1970년대 중반 그가 회장을 맡기도 했던 전위적 실험미술 단체 한국아방가르드협회(AG) 시기를 지나 1970년대부터 한국미술사를 풍미한 단색화까지, 하종현 작가의 굵직한 행보는 비견할 수 없는 고유한 위치를 차지한다. 특히 마대 캔버스의 뒷면에서 앞면으로 안료를 밀어내는 노동 집약적이고도 독자적 기법인 ‘배압법(背押法)’을 통해 1974년부터 작업해온 대표 연작 〈접합〉과 2009년부터 이를 확장한 〈이후 접합〉 연작은 단색화의 흐름 속에서 회화의 화면을 대하는 태도와 방식 자체를 재해석한 독보적인 작업이다.

하종현 아트센터는 치열한 시대정신과 진지한 탐구정신으로 회화의 정의 및 개념을 확장해온 작가의 전 생애를 조망하며 주요 작품들을 소개한다. 한국 현대미술의 굵직한 줄기마다 큰 역할을 한 작가의 연대기와 시기별 대표작, 그리고 아카이브 자료가 연면적 약 2,967㎡(약 897평) 규모로 조성된 아트센터의 세 개의 층에 걸쳐 펼쳐진다. 제1전시장에 들어서면 높은 층고의 전시장에 〈접합〉 대작이 관람객을 맞이한다. 단색과 다채색의 작품들이 함께 어우러지는 2010년대 중반 이후의 〈접합〉 작품들이 큰 전시장 공간을 무게감 있게 채운다. 제2전시장에서는 앵포르멜과 기하추상에 기반을 둔 1960년대 및 1970년대 초반의 회화 작품들과 AG 활동 시기의 설치 작업을 선보인다. 또한 같은 층의 맞은편에 마련된 아카이브 공간에서는 그간의 주요 전시 도록과 사진, 영상 등을 포함한 자료를 통해 작가의 궤적을 짚어본다. 제3전시장에는 다양한 시기의 〈접합〉 연작을 한 자리에서 선보이며, 마지막으로 제4전시장에서는 수직과 수평을 오가는 〈이후 접합〉이 전시되어 작가의 실험을 엿볼 수 있게 한다.

개관 당일에는 ‘제14회 하종현미술상’ 시상식도 함께 진행된다. 하종현미술상은 서울시립미술관장을 지낸 하종현 작가가 홍익대학교 교직 퇴임 후 사회 환원 및 후학 양성을 위해 지난 2001년 제정한 상이다. 동시대 작가뿐만 아니라 평론가, 큐레이터 등 국내외 미술계 다방면에서 활동하고 있는 인물에게 수여되며, 그동안 이배, 권여현, 서성록, 남춘모, 유근택, 이세현, 김수자, 조앤 기(Joan Kee), 알렉산드라 먼로(Alexandra Munroe) 등 20여 명의 수상자를 배출한 바 있다. 올해는 김선정 아트선재센터 예술감독과 미술사학자이자 큐레이터로 활동하고 있는 애슐리 롤링스(Ashley Rawlings)가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특히 롤링스는 한국 단색화를 해석하고 국제 무대에 소개하는 데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하종현 아트센터는 작가 개인의 아카이브와 전시뿐만 아니라 강연, 세미나, 연구 프로그램 등을 선보이며 동시대 예술 담론의 중심지로 자리매김할 예정이다. “예술은 작가만의 것이 아니라 감상자와의 소통을 통해 완성된다”는 작가의 신념처럼, 하종현 아트센터가 후대에 귀감이 되는 중요한 장으로 거듭나기를 기대한다. 


1935년 경상남도 산청에서 출생한 하종현은 1959년 홍익대학교 회화과를 졸업한 후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학장(1990–1994)과 서울시립미술관 관장(2001–2006)을 역임했으며, 현재 일산에서 거주 및 작업하고 있다. 뉴욕, LA, 런던, 파리 등 세계 주요 도시의 갤러리에서 개인전을 선보였으며, 주요 미술관 개인전으로는 대전시립미술관(2020), 국립현대미술관(2012), 가나아트센터(2008), 경남도립미술관(2004), 밀라노 무디마 현대미술재단(2003) 등이 있다. 참여한 주요 단체전으로는 LA 해머 미술관(2024), 뉴욕 솔로몬 R. 구겐하임 미술관(2023), 덴버 미술관(2023), 뉴욕 현대미술관(2019), 상하이 파워롱 미술관(2018), 브루클린 미술관(2017), 벨기에 보고시안 재단(2016), 시카고 미술관(2016), 프라하 비엔날레(2009) 등이 있다. 작가의 작품은 뉴욕 현대미술관, 뉴욕 솔로몬 R. 구겐하임 미술관, 시카고 미술관, 도쿄도 현대미술관, 파리 퐁피두센터, 홍콩 M+, 국립현대미술관, 리움미술관 등 세계 유수의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오형석 yonsei6862@gmail.com
< 저작권자 © 문화저널코리아.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일대로 461 SK허브 101동 309호 | TEL : 02-564-0034 | FAX : 02-557-8945 등록번호 : 서울아03363 | 등록일자 : 2014년10월10일 | 발행일자 : 2018년06월01일 발행인 : 조정일 | 편집인 : 김영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영일